반월상연골판 손상 운동 중 손상부터 퇴행성 마모까지 알아보기

반월상연골판 손상, 무릎 통증이 방향 전환 시 ‘뚝’ 하고 아프다면?
운동 중 손상부터 퇴행성 마모까지… 정확한 진단과 관리가 핵심입니다

“무릎이 ‘딱’ 소리 나고 시큰해요.”
“운동하다 방향을 틀었는데 그 순간 찢어지는 느낌이 있었어요.”
“걷다 보면 무릎이 자꾸 걸려요.”

이런 증상, 단순한 피로일 수도 있지만 무릎 내부의 반월상연골판 손상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반월상연골판은 무릎뼈 사이에서 쿠션 역할을 하는 반달 모양의 연골 조직으로,
충격 흡수와 무릎의 안정성 유지에 핵심적인 구조물이에요.

오늘은 이 반월상연골판이 왜 손상되는지,
증상, 진단, 치료법, 재활운동까지 정형외과 진단 기준으로 체계적으로 정리해드릴게요.


반월상연골판 손상이란?

반월상연골판은 무릎 안쪽(내측)과 바깥쪽(외측)에 각각 존재하며,
무릎의 움직임 중 충격을 흡수하고 관절이 어긋나지 않게 지지해주는 구조물입니다.
이 구조물이 찢어지거나 마모되면 무릎 내 통증, 소리, 운동제한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항목 설명

의학 명칭 Meniscus Tear
구성 반달 모양의 섬유연골 (내측·외측 각 1개씩)
기능 충격 흡수, 관절 안정화, 윤활 작용
손상 유형 외상성(젊은층), 퇴행성(중장년층 이상)
 

어떤 상황에서 손상되나요?

원인 설명

갑작스러운 방향 전환 동작 축구, 농구 등
스쿼트, 런지, 쪼그려 앉기 등 반복 무릎 과부하
계단 오르내리기 반복 내측 연골 압박
퇴행성 변화(노화) 50대 이상, 일상생활 중 찢어지기도
비만 체중 부담이 연골에 직접 작용

반월상연골판 손상의 증상

증상 특징

무릎 안쪽 or 바깥쪽 통증 내측이 더 흔함
‘딱’ 혹은 ‘뚝’ 하는 소리 찢어진 조직이 움직이면서
무릎이 잠기거나 걸리는 느낌 (locking) 구부리기 어려움
움직일수록 붓고 열감 생김 반복 마찰로 관절염 진행 가능
계단 내려갈 때 통증 심함 하중 증가로 인한 자극
통증 위치가 일정하고 눌렀을 때 아픔 국소 통증
 

자가 진단 체크리스트

항목 나에게 해당되나요?

무릎을 굽히거나 펼 때 딱딱 소리가 난다
특정 방향으로 돌릴 때 무릎 안쪽이 아프다
쪼그려 앉기나 런지 시 통증이 있다
무릎이 ‘잠기는 듯’한 느낌이 있다
운동 후 무릎이 붓고 통증이 계속된다

3개 이상 해당된다면 정형외과 진료가 꼭 필요합니다.


진단 방법

검사 목적

이학적 검사 맥머레이 검사, 애플 테스트
X-ray 뼈 정렬 확인 (연골은 보이지 않음)
MRI 손상 부위, 크기, 유형 정확히 확인 가능
관절경(진단 + 치료) 실제로 보며 치료 병행

손상 유형에 따른 분류

유형 설명 수술 여부

횡파열 주로 젊은층 운동 손상 재봉합 or 절제
세로파열 (버킷 핸들) 조직이 말리며 관절 막음 관절경 시급
복합파열 다양한 방향, 고령층에서 흔함 절제 가능성 높음
퇴행성 균열 50대 이상 자연 마모 비수술 치료 우선
 

치료 방법

✅ 1. 비수술적 치료 (경도 손상 시)

방법 설명

휴식(R) 무릎 사용 줄이고 부담 최소화
냉찜질(I) 하루 2~3회, 10분씩
압박(C) 무릎 보조기, 테이핑
거상(E) 심장보다 높게 올려 부기 제거
물리치료 온열, 전기자극, 초음파 등
진통소염제 염증 완화 목적

✅ 2. 수술적 치료

수술 종류 설명 회복 기간

관절경 연골 절제술 찢어진 부위만 잘라냄 2~4주
연골판 봉합술 찢어진 부위 꿰매서 살림 6~12주
연골 이식술 젊은 층, 심한 손상 시 시행 3~6개월 이상

수술 후 재활 운동이 매우 중요하며, 재발 방지를 위한 운동 치료가 병행됩니다.

 

수술 없이 가능한 재활 운동법

운동 방법

대퇴사두근 강화운동 무릎 펴고 발끝 당긴 채 다리 들기
햄스트링 스트레칭 앉아서 다리 펴고 상체 숙이기
밴드 스쿼트 무릎 90도 이하로만 살짝 구부리기
자전거 타기(실내) 무릎 관절에 부담 적고 순환 도움

예방법 & 생활 습관

습관 효과

무릎 비트는 동작 줄이기 방향 전환 시 회전 자제
체중 관리 연골에 가해지는 압력 줄이기
허벅지 근육 강화 관절 안정성 ↑
계단 이용 시 주의 내려갈 때 무릎 꺾임 최소화
무릎 보호대 활용 스포츠 시 손상 예방
 

Designed by JB FACTORY